반응형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PC 또는 자녀가 사용하는 PC에서 유투브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크롬브라우저 익스플로러 등에서 접속을 제한하는 방법도 있지만 접속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없이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윈도우 호스트(hosts)파일을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호스트(hosts)파일은 윈도우에서 인터넷 사이트 접속할 때 사이트 이름을 IP주소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파일입니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 에 위치하고 있으며 메모장으로 열어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hosts)파일을 메모장으로 연 다음 다음과 같이 한 줄 추가를 해줍니다.
파일을 저장한 후 DNS캐쉬를 지워주는 작업을 해줍니다. DNS캐쉬는 접속한 사이트의 IP주소를 보관하고 있다가 빠른 접속을 위해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127.0.0.1 이라는 IP주소는 컴퓨터 루프백을 의미하므로 유투브(www.youtube.com)로의 접속시 인터넷으로 연결시키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윈도우 시작버튼을 우클릭 한 후 실행을 누른 다음 cmd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트를 누릅니다. 도스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캐쉬를 삭제합니다.
C:\Users\술탄듯물탄듯>ipconfig /flushdns
이제 크롬이나 익스플로러를 실행하여 접속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유해사이트나 특정사이트 등을 차단하는데 응용할 수 있겠지요
반응형
'컴퓨터 부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부수기] 동영상 녹화 프로그램 쉽게 따라하기 (0) | 2021.03.08 |
---|---|
[컴퓨터 부수기] 컴퓨터 유투브 광고(푸시팝업) 끄기 (0) | 2020.10.16 |
[컴퓨터 부수기] 올바른 보안인증서로 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콘텐츠가 차단되었습니다 (0) | 2020.06.16 |
[컴퓨터 부수기] pdf파일 용량 줄이는 방법 (0) | 2020.06.16 |
[컴퓨터 부수기] No compatible source was found for this media 영상 플레이 안될때 (0) | 2020.06.11 |
댓글